‘컨택리스 결제’
해외에선 카드만 단말기에 '톡' 하고 대면 결제 끝! 그런데 한국은 아직도 카드를 꽂고, 비밀번호를 누르거나 서명을 해야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왜일까요? 그리고 우리가 놓치고 있는 '컨택리스 결제(Contactless Payment)'는 대체 뭘까요?
컨택리스 결제란 무엇인가요?
컨택리스 결제는 말 그대로 '접촉 없이 결제하는 방식'입니다. 카드나 스마트폰, 심지어 스마트워치까지 단말기에 가까이 대기만 하면 결제가 완료됩니다. NFC (근거리 무선통신) 기술을 이용하기 때문에 빠르고, 위생적이며, 편리하죠.
해외에서는 이미 2010년대부터 널리 사용되며 일상이 되었고, 2025년 현재 전 세계 결제의 약 70% 이상이 비접촉 방식으로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한국은 왜 아직 불편할까요?
사실 국내 카드들도 대부분 컨택리스 기능을 지원합니다. 그런데도 많은 사람들이 이 기능을 잘 모르거나, 실제로 사용하지 않고 있습니다. 그 이유는 크게 2가지입니다.
- 1. 단말기 인식률 부족: 모든 매장에서 NFC를 지원하지 않습니다.
- 2. 사용자 인식 부족: 많은 분들이 자신의 카드가 NFC 지원되는지도 모르고 계세요.
컨택리스 기능이 있는 카드, 어떤 게 있나요?(카드 뒷면 와이파이 모양)
아래는 2025년 기준, NFC 비접촉 결제를 지원하는 주요 카드사 목록입니다. 대체로 카드 뒷면에 '교통카드 탑재' 문구가 있는 경우, 대부분 컨택리스 기능을 지원한다고 보시면 됩니다.
- 국민카드: 대부분의 신용/체크카드 NFC 탑재
- 삼성카드: NFC 결제 가능 카드 다수 보유
- 신한카드: 교통카드 겸용 카드 대부분 지원
- 현대카드: 일부 프리미엄 카드 NFC 지원
- 우리카드: 모바일 연동 및 NFC 결제 가능
- 하나카드: 삼성페이/애플페이 연동 NFC 카드 다수
- 토스카드: 컨택리스 기능을 지원
※ 확인 방법: 카드 뒷면에 ‘교통카드 기능 포함’ 또는 ‘NFC 지원’ 표기 확인 + 카드사 앱에서 설정 가능
컨택리스 결제, 어디서 사용할 수 있을까요?
생각보다 많은 곳에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NFC 로고나 ‘카드를 살짝 대주세요’ 문구가 있는 매장에서는 거의 다 된다고 보시면 됩니다.
- 편의점 (CU, GS25, 세븐일레븐 등)
- 카페 (스타벅스, 이디야 등)
- 지하철, 버스 등 교통시설
- 일부 대형마트 및 프랜차이즈 음식점
사용 방법은 매우 간단합니다
- 컨택리스 기능 있는 카드나 스마트폰 준비
- 결제 시 단말기에 카드나 스마트폰을 살짝 대기 (컨택리스 결제 단말기의 컨택리스 아이콘 부분에 카드를 가까이(5cm 이내) 태그하면 결제가 이루어집니다. )
컨택리스 결제의 장점 3가지
1. 빠릅니다: 삽입·서명 없이 단 몇 초 만에 결제 완료
2. 위생적입니다: 손으로 만지지 않아도 결제 가능
3. 편리합니다: 스마트폰이나 스마트워치로도 결제 가능
몰라서 못 쓴다면 오늘부터 바꿔보세요
이제는 대부분의 카드가 컨택리스 기능을 탑재하고 있고, 단말기도 점점 더 보편화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여전히 많은 한국인들은 이 기능을 '있는지도 모른 채' 불편하게 카드를 꽂고 비밀번호를 누릅니다.
여러분 지갑 속 카드, 다시 한번 확인해보세요.
알고 보면 이미 갖고 있는 기능일지도 모릅니다.
2025년, 결제 습관도 스마트하게 바뀌어야 할 때입니다.
모르면 손해, 알면 평생 편한 컨택리스 결제, 오늘부터 한번 써보세요!